연혁
부산대학교 미식축구부는 금년 38번째 시즌을 맞이한다.
희생, 개척, 협동, 봉사를 팀의 철학으로, 대한민국 제일의 팀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있다. 1978년 4월 부를 창단한후 끊임없는 노력과 뜨거운 투쟁으로 우리부의 한걸음 한걸음의 역사를 만들고 있다.
- 1.역사의 태동기 ( 1978년 4월 ~ 1979년) 78학번과 79학번은 서울로 유학간 부산출신의 코치진과 함께 부산의 미식축구 보급을 위해 부산대학교에 미식축구부를 만든다. 당시의 역사적 암울기에서 국가와 부산대학교의 영광을 위해 미식축구를 선택하게 된것이다. 스포츠를 운동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애국의 관점으로 본것이다. 그들의 피와 땀으로 서광이 조금씩 보이게 된다.
- 2.확충기 (1980년 ~ 1981년 ) 1년간의 흙과 땀의 철학을 배운 선배들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80학번, 81학번의 선수를 모아, 앞으로의 영광을 위해 서서히 토대를 구축하면서 전진을 한다. 이미 부산에는 동아대, 해양대, 경성대에 미식축구부가 창단되어 활발한 교률를 하게 되고, 나중에 창단한 동의대와 함께 지금까지 한국의 미식축구를 이끌게 된다.
- 3.황금기 (1982년 ~ 1987년) 여러가지 이유로 많은 이들이 미식축구부를 찿게된다. 80학번의 ROTC와 81학번은 군에 가버린 선배들의 뒤를 이어 미식축구부를 이끌고 있었다. 이제는 문제의 82학번이 등장하게 된다. 82년 겨울 코치를 영입하 후 다음헤에 들어온 83학번들과 함께 선배들과 멋진 조화로 전성기를 맞이하게 되고, 몇 년간을 미식축구의 명문으로 이름을 떨치게 된다. 84학번, 85학번,86학번,87학번들은 군에간 선수들의 구멍을 훌륭히 메꿔 주었다. 이당시 지역우승, 준우승 십수차례, 전국대회 준우승 1회등 좋은 성적을 만든다.
하지만 많은 그림자도 생기게 된다. 당시 학교규칙에 따라 퇴학당하는 선수가 발생하고( 나중에 재시험으로 다시 부산대에 입학하게 된다.) 공부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게 되고, 그 후 다수의 장학생을 보유하게 된다.
1978년 4월 팀창단
1980년 전국동계리그 4강, 구덕운동장 주장, 감독 유재억, 주장 최성환
1982년 춘계 3위 삼성여고, 지도교수 조원민, 주장 금관수(4기)
1982년 하계 3위 삼성여고, 지도교수 조원민, 주장 금관수(4기)
1982년 추계 준우승 삼성여고, 지도교수 조원민, 주장 금관수(4기)
1982년 전국동계 구덕운동장, 코치 차정환, 지도교수 조원민, 주장 금관수(4기)
1983년 춘계 우승 삼성여고, 코치 차정환, 지도교수 조원민, 주장 유창한(5기)
1983년 하계 우승 삼성여고, 코치 차정환, 지도교수 조원민, 주장 유창한(5기)
1983년 추계 우승 삼성여고, 코치 차정환, 지도교수 조원민, 주장 유창한(5기)
1984년 전국동계 준우승 구덕구장, 코치 차정환, 지도교수 조원민 주장, 유창한(5기)
1987년 부산경남 지역 춘계/추계 준우승 경성대구장, 지도교수 조원민, 주장 서재용(8기)
1988년 부산경남 지역 추계 준우승, 부산대구장, 지도교수 조원민, 주장 오재길(10기)
1989년 전국대학미식축구 춘계리그 준우승, 대구 두류산구장, 주장 최의곤(11기)
1991년 전국대학미식축구 동계리그, 3위 주장 이상봉
1992년 부산경남 지역 추계 3위, 주장 심영진(14기)
1993년 부산경남 지역 추계 우승, 주장 정경수(15기)
1993년 전국추계 대회 3위. 그외 2부리그 우승도
1996년 캣볼 사직운동장 준우승
1996년 부상경남 추계 2부 우승
2009년 부산경남 추계 우승, 전국 대학미식축구 선수권전(타이거볼) 우승, 제15회 김치볼 우승
2010년 부산경남 춘계 준우승, 부산경남 추계 우승, 전국 대학미식축구 선수권전(타이거볼) 우승, 제16회 김치볼 준우승
2011년 부산경남 춘계 우승, 부산경남 추계 우승, 전국 대학미식축구 선수권전(타이거볼) 우승, 제17회 김치볼 준우승
2012년 부산경남 춘계 우승, 부산경남 추계 우승, 전국 대학미식축구 선수권전(타이거볼) 4강
2013년 부산경남 춘계 우승, 부산경남 추계 준우승, 전국 대학미식축구 선수권전(타이거볼) 우승, 제19회 김치볼 우승
2014년 부산경남 춘계 준우승, 부산경남 추계 준우승, 전국 대학미식축구 선수권전(타이거볼) 4강